[시선뉴스 홍지수 / 구성 : 심재민 선임기자, 조재휘 기자]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사회의 뜨거운 이슈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이슈체크입니다.

(연합뉴스 제공)
(출처/연합뉴스 제공)

주 52시간제 도입을 앞두고 사용자 측과 갈등을 빚고 있는 전국 주요 도시 버스노조가 파업 찬반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함에 따라 버스 대란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서민들의 출퇴근길을 책임지기도 하며 이동수단의 큰 역할을 담당했던 버스가 전국 곳곳에서 운행을 중단하면 시민들의 큰 불편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오늘 이슈체크에서는 버스 노조 파업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 이슈체크에서 버스노조의 파업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출처/연합뉴스 제공)

버스노조는 오는 7월 실시되는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앞두고 임금인상과 인력충원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의 한 버스 회사 노조는 지난해 준공영제 시행 이후 근무시간을 줄이면서 임금이 대략 310만 원 정도로 70~80만 원이 줄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노조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 지금보다 임금이 더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국 버스노조의 절반가량인 230여 곳이 파업 찬반 투표에 들어갔고 나머지도 임금협정이 만료되는 다음 달쯤 파업 움직임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력 충원 역시 시급한 과제이며 노조는 연말까지 만5천여 명이 더 필요하다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버스 업체들은 수익성 악화로 임금보전이 어렵고 저임금에 따른 인력난으로 인력 충원도 역부족이라는 입장입니다. 특히 버스 업체 측은 “현재 요금은 동결인 상태에서 최저 시급이 올라 적자를 보고 있는 상태”라고 토로하는데요. 일부 업체들은 비용절감을 위해 운행 버스를 줄여 승객들 불편이 커지고 있지만 정부와 일부 지자체는 대책을 서로 미루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출처/연합뉴스 제공)

국토부는 특히 상황이 심각한 경기도가 요금 인상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고, 경기도는 수도권 환승요금체계 때문에 단독 인상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그리고 부산과 울산 버스노조는 8일 파업을 가결했고 다른 지역도 9일까지 파업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두 번째 이슈체크에서는 파업 일정 및 전국 파업 투표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한국노총 산하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소속 10개 지역 200여곳 사업장은 8일 파업 찬반투표를 열었습니다. 앞서 쟁의조정신청을 한 지역은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남 창원, 충북 청주, 경기, 전남, 충남 등 12곳 247개 사업장입니다. 버스 차량으로는 2만여 대에 달하며 참여 인원은 4만 1천명가량입니다.

그리고 부산은 전체 33개 사업장별로 8일 오전 10시부터 파업 찬반투표를 한 결과 97%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했으며 투표율은 91%를 기록했습니다.

또 울산 5개 버스업체 노조도 이날 파업 찬반투표에서 조합원 87.7%가 파업에 찬성표를 던졌고 충남도는 95%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됐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출처/연합뉴스 제공)

그밖에 대구 등 대부분 지역은 8일 밤늦은 시간까지 투표를 계속 진행했으며, 경기도 등 일부 지역은 9일까지 투표가 진행됩니다. 이번 파업 찬반투표는 합법적 파업을 위한 절차로, 자동차노련이 공동 투쟁을 선포한 상황에서 나머지 지역도 압도적인 찬성률로 파업이 가결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가결로 노조는 노동위원회 조정이 끝나는 15일부터 합법적으로 파업에 돌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자동차 노동조합총연맹은 10일 긴급대표자 회의를 열어 파업 여부와 일정 등을 결정할 예정이며 15일까지 각 지방 노동위원회에서 몇 차례 조정회의가 열리지만, 노사 간 입장차가 커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 제공)
(출처/연합뉴스 제공)

서민의 발을 담당하고 있는 버스. 파업이 현실화되어 버스 운행을 중단하게 되면 그 불편의 몫은 오롯이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돌아오게 됩니다. 이에 각 지자체에서는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준비하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빠른 시일 내에 노동위원회 조정과 협상을 통해 해법을 찾아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지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이슈체크 조재휘였습니다.

SNS 기사보내기